바디빌딩 스타일의 운동이 신체 단련의 전부 인 줄 알았던 시절, Home Gym이라고 하면 스쿼트랙과 밴치, 덤벨 세트와 바벨 세트가 중심이된 웨이트 트레이닝 실이 머리 속에 그려지곤 했었습니다.
고전적인 홈짐의 구성
하지만 중량을 이용한 고립운동이 퍼포먼스 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 입증되면서 기능적 움직임을 핵심 요소로 하는 Functional Training이 주류가 되고있니다.
그런 변화에 맞춰 다양한 Functional Training Tool이 소개되고 있는데, 그 중에 TRX는 가장 Hot!!! 한 아이템이 아닐까 싶습니다.
개발자인 Randy Hetrick은 미 해군 특수부대인 Navy SEALs에 복무 하면서 작전 현장에서 체력을 유지할 방법이 필요해 낙하산 로프와 보트 손잡이등을 활용해 TRX의 원형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Randy Hetrick은 전역 이후 회사를 설립하고 개량을 거듭해 지금의 TRX를 출시했습니다.
사실 TRX가 나오기 이전에도 로프를 이용한 현수 운동 도구들이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Randy Hetrick은 회사를 단순히 현수운동기구를 만들어 파는것에 국한시키지 않고 시간과 장소에 제한 없이 체력을 단련할 수 있는 솔루션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업 목표를 세웠습니다. 그래서 회사 이름도 TRX가 아닌 Fitness Anywhere이지요.
여담이지만 만약 Randy Hetrick이 '최고의 현수운동기구를 만들겠다' 라는 목표로 회사를 세웠다면 TRX역시 여러 운동 기구 중 잘 만들어진 현수운동 기구 쯤 으로 기억되지 않았을까요?
아무튼 TRX의 탄생과 여러 훈련 프로그램의 보급으로 홈짐을 구성하는 것이 무척 수월해 졌습니다. 바디빌더가 아닌 이상에야 치닝바와 무게조절 덤벨 한쌍 그리고 TRX만 있으면 일단 왼만한 기능적 훈련들은 다 소화 할 수 있으니까요.
집에서 TRX를 사용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Door Anker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Ancker의 위치가 방문 바로 위로 한정적이다 보니 TRX의 활용 폭이 약간 제한 되는 면이 있습니다. Fitness Anywhere에서 제공하는 TRX의 모든 운동을 소화 하려면 2.1~2.7m 의 높이와 1.8 x 2.4의 공간이 필요합니다.
Fitness Anywhere 에서도 최적화된 TRX 설치를 위해 옵션으로 X-Mount가 나옵니다.
뭘 하나 해도 제대로 안 하면 직성이 안풀리는 병(?)이 있어 또 한번 사서 고생을 계획했습니다.
이번 작업에 필요한 재료 입니다. 총 13,700원이네요. (콘크리트 드릴링에 필요한 임팩드릴은 이미 갖고 있으니 계산에 넣지 않았습니다.)
이 위치에 설치하면 TRX를 활용하는데 충분한 좌우 공간이 확보 될 것 같습니다.
제품에 들어있는 나사로 마운트를 천장에 그냥 고정하면 될 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하중을 받을 수 있는 콘트리트 천장과 도배지가 붙어있는 얇은 나무천장 사이에는 빈 공간이 있습니다. 이 공간이 어느 정도인지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설치 위치 바로 앞에 있는 화재 경보기를 열고 자를 넣어봤습니다. 딱 5cm가 나오네요.
일단 설치 위치의 가벽에 구멍을 뚫었습니다.
드릴의 뎁스게이지를 세팅합니다. (가벽 위 공간 5cm + 스트롱 앙카 길이)
가벽에 뚫어놓은 구멍을 기준으로 수직을 유지하며 설정된 뎁스 게이지가 가벽에 닿을 때 까지 콘크리트 벽을 뚫습니다.
이때 돌가루와 소음이 정말 심합니다. (저는 수경을 끼고 작업했습니다.)
콘크리트에 스트롱 앙카를 때려넣기 위해 전산볼트를 적당히 잘라 가이드를 만들고 가이드에 스트롱 앙카를 물렸습니다. .
계산된 깊이까지 스트롱 앙카를 밖아 넣고 가이드는 돌려서 빼 내었습니다.
매설된 스트롱앙카로 부터 X-Mount를 연결한 볼트를 적당한 길이로 재단했습니다.
X-Mount가 고정될 레벨 위치에 너트하나를 물려놨습니다.
재단된 전산볼를 스트롱앙카에 끼워 넣었습니다.
가벽과 같은 높이로 너트를 미세조정 합니다.
너트의 위치가 적당해야 가벽에 심한 압력을 주지 않고 마운트가 설치 될 수 있겠죠.
마지막 너트는 있는 힘껏 단단하게 고정!!!!!
설치 완성입니다.
이제 집에서도 제대로된 TRX 활용이 가능합니다.!!
'TRY TRI > Equi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erunner 935 데이터 필드 설정 [Intro] (0) | 2018.08.01 |
---|---|
물 위의 안전벨트 RESTUBE (레스튜브 리뷰) (0) | 2016.06.28 |
런닝화 수명 -어쩐지 발이 아프더라니- (0) | 2015.05.24 |
오픈워터 수경 비교 리뷰 (0) | 2015.05.18 |
EVAC Dry Sack -젖은 웻슈트 담기에는 이게 딱!- (0) | 2015.05.18 |